크리스틴 델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스틴 델피는 프랑스의 사회학자이자 유물론적 페미니즘의 선구자이다. 1941년 파리에서 태어나 소르본 대학교에서 사회학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에서 유학하며 시민권 운동에 참여했다. 프랑스로 돌아와 여성 해방 운동에 참여했으며, 유물론적 페미니즘을 통해 젠더 불평등을 분석하고 가부장제를 비판했다. 또한 '프랑스 페미니즘'의 본질주의적 경향을 비판하며, 젠더와 성별의 관계에 대한 독창적인 이론을 제시했다. 델피는 저널 '누벨 퀘스천 페미니스트'의 편집장을 맡았으며, 다수의 저서와 영화 출연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널리 알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르크스주의 여성주의자 - 시몬 드 보부아르
프랑스의 작가이자 철학자, 여성주의 운동가인 시몬 드 보부아르는 실존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여성의 주체성과 자유를 강조했으며, 《제2의 성》에서 "여자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라는 구절로 여성 억압의 근원을 분석했다. - 마르크스주의 여성주의자 - 주디스 버틀러
주디스 버틀러는 젠더 수행성 이론으로 여성주의, 퀴어 이론, 정치철학에 큰 영향을 준 미국의 철학자이자 성별 연구의 선구자이며, 사회 정치적 이슈에 적극적으로 발언하는 정치 활동가이다. - 프랑스의 사회학자 - 모리스 뒤베르제
모리스 뒤베르제는 프랑스의 정치학자이자 법학자로, 정당론 연구에 기여했으며 소선거구제가 양당제를 유도한다는 '뒤베르제의 법칙'을 정립했다. - 프랑스의 사회학자 - 미셸 푸코
미셸 푸코는 프랑스의 철학자, 역사가, 사회학자로서 권력, 지식, 담론 등을 탐구하며 서양 사상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여성주의자 - 시몬 드 보부아르
프랑스의 작가이자 철학자, 여성주의 운동가인 시몬 드 보부아르는 실존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여성의 주체성과 자유를 강조했으며, 《제2의 성》에서 "여자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라는 구절로 여성 억압의 근원을 분석했다. - 프랑스의 여성주의자 - 샤를 푸리에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초기 사회주의 사상가인 샤를 푸리에는 상업의 폐해와 사회 모순을 비판하며 정념 인력 개념을 제시하고 팔랑주라는 공동체 사회를 구상했으며, 그의 사상은 공상적 사회주의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쳐 현대 사회 사상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크리스틴 델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직업 | 사회학자, 페미니즘 이론가, 활동가 |
국적 | 프랑스 |
학력 |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앤 코미어 및 데보라 클레즈머 편집, "세계 여성 사전: 시대를 초월한 여성 25,000명", 요킨, 워터포드 CT, 2007년 |
관련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크리스틴 델피 공식 웹사이트 |
소속 | |
소속 | 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 명예 연구 책임자 |
2. 생애
1941년 파리 4구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1958년 바칼로레아에 합격했고, 1961년 소르본 대학교에서 사회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1962년 미국으로 건너가 시카고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공부했다. 1964년 엘리너 루스벨트 재단의 장학금을 받으며 도시 흑인의 생활 향상을 지원하는 전국 도시 연맹 워싱턴 지부에서 활동했지만, 성희롱을 당하는 등의 경험을 한 뒤 1965년 귀국을 결심했다.[17] 귀국 후 여성학 박사 학위를 받기 위해 사회과학고등연구원 교수였던 피에르 부르디외에게 상담했지만, 여성학 분야를 지도할 수 있는 교수가 없다는 이야기를 듣고 농촌사회학, 그중에서도 농촌의 가족구성과 유산 상속에 관한 조사를 했다.
2. 1. 초기 생애
1941년 파리 4구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부모는 약사였으며, 델피는 부모의 노동 분업을 관찰하며 초기 페미니스트적 의식을 갖게 되었다고 다큐멘터리 영화 ''"Je ne suis pas féministe, mais..."'' (''나는 페미니스트는 아니지만...'')에서 묘사한다. 델피는 부모 두 사람 모두 약국 운영에 많은 노동력을 쏟았지만, 점심시간에 집에 돌아왔을 때 아버지가 다리를 뻗고 신문을 읽는 동안 어머니는 점심 식사를 준비하고 설거지를 해야 했다고 지적했다. 그 후 두 사람은 다시 일터로 돌아갔다.[2]1958년 바칼로레아에 합격했고, 1961년 소르본 대학교에서 사회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1962년 미국으로 건너가 시카고 대학교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공부했다. 1964년 엘리너 루스벨트 재단의 장학금을 받으며 도시 흑인의 생활 향상을 지원하는 전국 도시 연맹 워싱턴 지부에서 활동했지만, 성희롱을 당하는 등의 경험을 한 뒤 1965년 귀국을 결심했다.[17]
2. 2. 미국 유학 및 시민권 운동 참여
1962년 미국으로 건너가 시카고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사회학을 공부했다.[2] 1964년 엘리너 루스벨트 재단의 장학금을 받고 전국도시동맹(National Urban League) 워싱턴 지부에서 활동했다.[2] 델피는 미국에서 인종차별의 실체를 깨닫고, 시민권 운동의 경험을 통해 억압받는 집단의 자율적인 운동의 가치를 인식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프랑스에도 인종차별이 있었지만, 저는 그것을 보지 못했습니다."[3]2. 3. 프랑스 귀국 및 여성해방운동 참여
1968년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의 연구원이 된 델피는 페미니스트 그룹 '여성・남성・미래(FMA)'에 참여했다. 이 그룹은 1969년 '페미니즘・마르크스주의・행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0] 1970년에는 CNRS 내 마르크스주의 정치철학자 '조르주 라비카' 그룹에 합류했다.[21] 1970년 9월부터 매주 수요일 에콜 데 보자르 대강당에서 열린 여성해방운동(MLF) 집회에 참가했으며, 급진적 여성주의 그룹 '혁명가 페미니스트' 등 다양한 그룹에서 활동했다.[22]1968년 5월 사건 이후, 델피는 FMA에 참여했고, 이는 다른 단체들과 함께 여성해방운동(MLF) 결성으로 이어졌다. 1970년 8월, 델피와 MLF 회원들은 무명 용사의 묘에 "무명 용사의 아내에게 바친다"라는 꽃다발을 놓는 퍼포먼스를 통해 MLF의 첫 언론 보도 활동을 이끌었다.[3] [20]
1971년, 델피는 기 오캉겜 등과 함께 동성애혁명행동전선(FHAR)을 결성했다.[26] 같은 해 4월, 모니크 위티그 등과 급진적 여성주의 레즈비언 운동 단체 '붉은 레즈(Gouines rouges)'를 결성했다.[5] 델피는 공개적으로 레즈비언임을 밝혔다.[4] '붉은 레즈'라는 명칭은 멸시적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일종의 유머를 추구함과 동시에 스테레오 타입에 도전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27]
1971년, 델피는 프랑스에서 불법이었던 낙태 경험을 공개적으로 밝히며 343인의 선언에 참여했다.[6] [24]
3. 사상
크리스틴 델피는 유물론적 페미니즘의 선구자로서, 젠더 관계에 유물론적 접근 방식을 적용했다.[9] 델피는 남성과 여성 간의 불평등이 물질적, 경제적 기반, 특히 생산의 가정 관계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보았다.[10]
델피는 마르크스주의를 수정하여 자본주의 계급뿐만 아니라, 젠더 역시 생산 방식(가사 노동)에서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여성 계급의 주요 적은 자본이 아니라 가부장제이다.[11] 또한, 델피는 젠더가 성별보다 앞선다는 젠더 분석을 발전시켰으며, 이는 성별의 지표인 성별을 탈자연화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12][13]
델피는 니콜-클로드 마티외, 모니크 위티그 등과 함께 유물론적 페미니즘 학파를 시작했다. 유물론적 페미니즘은 델피가 편집장을 맡았던 저널 ''누벨 퀘스천 페미니스트''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델피는 여성 운동에서 비롯된 경우에도 젠더에 대한 생물학적 본질주의적 관점에 도전하며,[14] 소위 "프랑스 페미니즘"이라는 개념을 비판했다.
3. 1. 급진적 여성주의・유물론적 여성주의
델피는 1970년대부터 글을 발표하며, 마르크스주의의 여성 억압 이론을 비판하고 가부장제를 주요한 적으로 지목했다. 1975년 '라르크'지에 프랑스 마르크스주의 여성주의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유물론적 페미니즘을 위해'라는 글을 발표했다.[28] 델피는 가사노동을 무상 노동으로 규정하고, 자본주의 생산양식 외에 결혼에 의해 제도화된 사회관계에서 여성이 무상 가사노동을 강요당하는 가내제 생산양식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28]1977년 잡지 '페미니즘 문제'를 창간하고, 1981년 후속 잡지 '신페미니즘 문제'를 창간했다. 델피는 젠더가 성별보다 앞선다는 젠더 분석을 발전시키고, 성별의 지표인 성별을 탈자연화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12][13]
3. 2. 본질주의와 '프랑스 페미니즘' 비판
델피는 여성 운동에서 비롯된 경우에도 젠더에 대한 생물학적 본질주의적 관점에 도전한다.[14] 그녀는 또한 "프랑스 페미니즘"이라는 개념이 미국에서 정치적 목적을 위해 발명되었다고 비판했다. 델피는 대부분의 프랑스 페미니스트들이 본질주의에 반대하며, 미국에서 "프랑스 페미니즘"이라고 불리는 것을 지지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주장한다. 델피에 따르면, 미국에서 "프랑스 페미니즘"을 발명한 것은 영미권 페미니스트들 사이에서 본질주의를 수용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프랑스 여성들이 이렇게 생각한다면, 우리는 이것을 존중하고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할 것으로 예상).[15]이러한 델피의 주장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에 ''퀘스천 페미니스트''와 ''누벨 퀘스천 페미니스트''에 실린 많은 기사에서 자세히 설명되었으며, ''L'Ennemi principal, tome 1 : L'Économie politique du patriarcat''(1997)와 ''L'Ennemi principal, tome 2 : Penser le genre''(2001)와 같은 책으로 출판되었다.
3. 3. 기타 주요 활동
1971년, 델피는 프랑스에서 불법이었던 낙태를 했다고 공개적으로 선언하는 343인의 선언에 서명했다.[6]2003년 자크 시라크 대통령이 설치한 스타지 위원회가 다음 해인 2004년에 제출한 종교적 표장 규제 법안(특히 공립 학교에서의 이슬람 스카프 착용을 금지하는 법안)에 대해, 이슬라모포비아라며 반대했다. 델피는 "아랍인·무슬림은 오랫동안 표적이 되어 왔다"며, 이는 "서구 제국의 오만함"이며, 걸프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등은 모두 "인종주의적 고정관념에서 비롯된 이데올로기에 근거한 것이다"라고 논했다.[34]
2011년에는 『샤를리 에브도』의 편집부가 있는 건물에 화염병이 투척된 사건 이후, "샤를리 에브도 지지에 항의하며, 표현의 자유를 지킨다"는 제목의 청원서에 서명하여 물의를 빚었다. 델피에게는 샤를리 에브도 방화 사건이 언론에서 대대적으로 보도되고 대부분의 정치인이 지지를 표명한 반면, 무슬림에 대한 공격(모스크 방화나 이슬람교 묘지 훼손)에 대해서는 그다지 다루어지지 않는다는, 정계 및 언론계의 편향된 대응이 문제였다.[35]
2017년 6월에는, 『백인, 유대인, 그리고 우리 (''Les Blancs, les juifs et nous'')』의 저자이자 "공화국 원주민 (Indigènes de la République)" 당 대표 우리아 부텔자|Houria Bouteldja프랑스어를 지지하는 약 20명의 지식인과 함께 『르 몽드』 지에 게재된 청원서에 서명했다. "공화국 원주민" 당은 반유대주의, 동성애 혐오, 반페미니즘 등으로 비난받는 경우가 많아, 격렬한 항의가 일어났다.[36][37]
4. 저서
- 《주된 적: 여성 억압에 대한 유물론적 분석》(1977) [1]
- 《집 가까이: 여성 억압에 대한 유물론적 분석》(1984) [1]
- 《친숙한 착취: 현대 서구 사회의 결혼에 대한 새로운 분석》(1992)
- 《주된 적 1, 가부장제의 정치 경제학》(1998)
- 《주된 적 2, 젠더를 생각하다》(2001)
- 《제2의 성 50주년》(2002)
- 《분류하고 지배하라, "다른" 사람들은 누구인가?》(2008)
- 《너무나 특별한 보편주의, 페미니즘과 프랑스 예외》(2010)
- 《가정부의 다듬질》(2011)
- 《분리하고 지배하라: 테러와의 전쟁 이후의 페미니즘과 인종차별》(2015)
- 《착취의 일반 이론을 위하여: 오늘날의 다양한 형태의 노동 착취》(2015)
- 《섹스와 젠더 재고하기》(2015)
- 《논쟁을 부르는 이슬람 스카프》(2004)
- 《이민에 의해 드러나는 공화국》(2006)
- 女性の主要な敵は何ですか - 急進的唯物論的分析일본어(이노우에 타카코, 카토 야스코, 스기토 마사코 역, 쿄소 서방, 1996)
5. 영화
크리스틴 델피는 자신의 삶과 사상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나는 페미니스트는 아니지만...》(Je ne suis pas féministe, mais...)를 포함하여 다수의 영화에 출연했다.[2] 이 영화에서 델피는 부모님을 관찰하며 초기 페미니스트적 의식을 갖게 되었다고 묘사한다.
5. 1. 크리스틴 델피 관련 주요 영화
- 플로렌스 티소와 실비 티소가 제작한 《나는 페미니스트는 아니지만...》(Je ne suis pas féministe, mais...)(2015)[2]
- 플로렌스 티소와 실비 티소가 제작한 《크리스틴 델피의 ABC》(L'Abécédaire de Christine Delphy)(2015)[2]
5. 2. 기타 출연 영화 목록
- 여성 해방 운동 시위 관련 다큐멘터리 (1970)
- 《실험적 게토》(Le Ghetto Expérimental) (1975)
- 케이트 밀레트 관련 다큐멘터리 (1975)
- 《여성의 이름으로》(Au nom des femmes) (1985)
- 《신이시여, 저는 레즈비언입니다!》(Thank God I'm a Lesbian!) (1992)
- 시몬 드 보부아르의 《제2의 성》 출간 50주년 기념 관련 영상 (1999)
- 《일어나라!》(Debout !) - 여성 해방 운동 1970-1980년의 역사 (1999)
- 《제2의 성 50주년》 (2001)
- 《블루, 블랑, 로즈》(Bleu, blanc, rose) (2002)
- 《간신히 드러난 인종차별》(Un racisme à peine voilé) (2004)
- 《매춘》 (2007)
- 샤히나즈 관련 다큐멘터리 (2007)
- 《또 그녀들!》(Encore elles !) - MLF 출생 40주년 (2011)
- 《캐롤 루소풀로스, 카메라를 든 여성》(Carole Roussopoulos, une femme à la caméra) (2012)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Women Worldwide: 25,000 Women through the Ages
Yorkin
[2]
Citation
Je ne suis pas féministe, mais...
https://www.imdb.com[...]
2015-03-08
[3]
간행물
Liberation des femmes, les années mouvement
[4]
서적
Christine Delphy
Sage Publications Ltd
[5]
서적
Women in Contemporary France
https://books.google[...]
Berg Publishers
[6]
웹사이트
Le manifeste des 343
http://www.cidem.org[...]
2001-04-23
[7]
웹사이트
Legal aid, Christine Delphy, Dating with a learning disability, Erica Jong, Facial hair, Woman's Hour - BBC Radio 4
http://www.bbc.co.uk[...]
2017-03-16
[8]
학술지
Antisexisme ou antiracisme? Un faux dilemme
2006-01-01
[9]
학술지
Pour un féminisme matérialiste
[10]
학술지
A Materialist Feminism Is Possible
[11]
문서
"L'ennemi principal (The Main Enemy)" in Christine Delphy, ''L'Ennemi principal, tome 1 : L'Économie politique du patriarcat'' (1997)
[12]
학술지
Rethinking Sex and Gender
[13]
서적
L'Ennemi principal, tome 2 : Penser le genre
[14]
문서
See "Protofeminism and antifeminism" in Christine Delphy, L'Ennemi principal, tome 1 : L'Économie politique du patriarcat (1997)
[15]
문서
See "L'invention du 'French Feminism': une démarche essentielle", in Christine Delphy, L'Ennemi principal, tome 2 : Penser le genre (2001)
[16]
웹사이트
Christine Delphy Christine Delphy - Editions Syllepse
https://www.syllepse[...]
2018-12-27
[17]
서적
Dictionnaire des féministes. France - XVIIIe-XXIe siècl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2017-02-15
[18]
웹사이트
Je ne suis pas féministe, mais..., Florence Tissot et Sylvie Tissot, 2015
https://jenesuispasf[...]
2018-12-27
[19]
문서
全国都市同盟 (National Urban League) とは、全国黒人都市生活条件同盟National League on Urban Condition among Negroesの通称で、略称NUL。1911年にニューヨーク黒人産業条件改善委員会と全国黒人女性保護連盟とを中核として結成された都市の黒人の生活向上を目ざした組織。黒人と白人とで構成され、コロンビア大学のE・R・A・セリグマンが初代の会長となった。多くの大都市に支部が置かれ、新しく都市に住むようになった黒人を職に就かせ、環境に適応できるよう援助し、よりよい住宅、教育施設、公共運動場、保健所の開設などを要求した。B・T・ワシントンの路線に沿い、もっぱら政治活動を避け、黒人大衆の経済的福祉問題だけを取り上げるという運動方針をとった。その活動は今日まで継続されている([https://kotobank.jp/word/%E5%85%A8%E5%9B%BD%E9%83%BD%E5%B8%82%E5%90%8C%E7%9B%9F-1353274 小学館 日本大百科全書])。
[20]
서적
Simone de Beauvoir et les femmes
Albin Michel
[21]
웹사이트
Recherche - Triangle - UMR 5206
http://triangle.ens-[...]
2018-12-27
[22]
학술지
Le Torchon brûle: menstruel
https://www.worldcat[...]
1971
[23]
웹사이트
Edito : Libération des femmes : en finir avec l’éternelle année zéro !
http://www.alternati[...]
2018-12-27
[24]
웹사이트
Un appel de 343 femmes
https://www.nouvelob[...]
2018-12-27
[25]
웹사이트
2018 - STOP aux violences contre les femmes
https://www.alliance[...]
2018-01-10
[26]
웹사이트
フランスLGBT・知られざる抑圧の歴史 {{!}} LGBT最前線 変わりゆく世界の性
https://toyokeizai.n[...]
2013-03-01
[27]
뉴스
Les GOUINES ROUGES (1971-1973)
https://mariejobon.n[...]
2018-12-27
[28]
서적
『なにが女性の主要な敵なのか ― ラディカル・唯物論的分析』
勁草書房
[29]
서적
『岩波 女性学事典』
岩波書店
[30]
웹사이트
パリテ (parité)
http://www.jawe2011.[...]
公益財団法人 日本女性学習財団
2018-12-27
[31]
학술지
フランスの性別クオータ制「パリテ」に関する社会学的研究――女性たちの運動と差異のジレンマに焦点をあてて
https://hdl.handle.n[...]
[32]
웹사이트
Le féminisme d'Élisabeth Badinter
https://www.humanite[...]
2003-06-20
[33]
웹사이트
Agression sans cause et crimes de guerre contre
http://cicg.free.fr/[...]
2018-12-27
[34]
웹사이트
Interview Christine Delphy
http://revuesocialis[...]
2018-12-28
[35]
웹사이트
Pour la défense de la liberté d’expression, contre le soutien à charlie hebdo !
http://lmsi.net/Pour[...]
Les mots sont importants
2018-12-27
[36]
웹사이트
Bouvet : « Que des universitaires défendent Houria Bouteldja est un crime contre l'esprit »
http://www.lefigaro.[...]
2017-06-23
[37]
웹사이트
Touche pas à ma raciste ! (ces intellectuels qui soutiennent Houria Bouteldja)
https://www.marianne[...]
2017-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